전체 글 (102) 썸네일형 리스트형 건축구조기술사 127회 공시체의 압축강도시험 결과, 콘크리트의 강도가 작게 나오는 경우 ■KCS 14 20 10 : 2021 일반콘크리트 3.5.5 콘크리트 구조물 검사 3.5.5.5 구조물 중의 콘크리트 품질의 검사 (1)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검사 또는 시공 검사에서 합격 판정되지 않은 경우, 또는 이들 검사가 확실히 실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구조물 중의 콘크리트 품질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2) 구조물 중의 콘크리트의 품질 검사는 3.5.3, 3.3.2 및 3.4에 의해 실시하여야 한다. (3) 구조물 중의 콘크리트 품질 검사 시 필요할 경우에는 한국콘크리트학회 「비파괴시험법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평가 요령」에 따라 비파괴시험에 의한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 비파괴시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구조물의 성능에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 건축물의 내진등급과 중요도계수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 건축물의 중요도 내용 누락 ■ 건축물의 내진등급기준 ▶ 제60조(건축물의 내진등급기준) 법 제48조의2제2항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등급기준은 별표 12와 같다. ▶ 별표 11 ▶ 별표 12 ☞ KDS 41 17 00 :2019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 건축물의 내진등급과 중요도계수 ☞ KDS 41 10 05 :2019 건축구조기준 총칙 ■ 건축물의 중요도분류 끝. 동결심도 ■KDS 41 90 20 :2017 기초 및 지하구조 4. 설계 4.1 기초 4.1.1 일반사항 (1) 기초는 안정화된 지반에 설치되어야 하며, 매립토 등에는 설치할 수 없다. 단, 연약한 토사지반이라도 치환 등을 통하여 기준 허용지내력을 확보한 경우는 이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2) 기초하부면의 바닥을 잘 다진 후 두께 50mm 이상의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를 설치하여야 한다. (3) 독립기초 및 줄기초의 저면위치는 동결심도 아래에 위치하여야 하며, 지표면으로부터 최소 1.0m 아래에 위치하여야 한다. ■KDS 41 90 30 :2017 콘크리트구조 4.7 기초 (5) 온통기초 ① 지하층이 없는 건물에 독립기초 대신 온통기초를 사용할 경우 배근은 표 4.7-3를 따른다. 돌출길이가 있을 때는 .. 허용지내력 ■KDS 41 20 00 :2019 건축물 기초구조 설계기준 4.3 직접기초 4.3.1 기본사항 4.3.1.1 허용지내력 허용지내력은 4.1.2에 규정한 지반의 허용지지력 이하가 되도록 하며, 또한 4.1.3에 따라 산정한 침하량이 4.1.4의 허용침하량 이하가 되도록 정하여야 한다. ■허용지내력 : 지반의 허용지지력 이하 + 허용침하량 이하 계속. 합성보의 콘크리트 슬래브 유효폭 ☞ 강구조 부재 설계기준(하중저항계수설계법) ☞ 4.3.2.2.2 휨부재 이 규정은 휨을 받는 다음 3종류의 합성부재에 적용한다. ① 스터드 전단연결재 또는 ㄷ형강앵커로 구성된 강재 전단연결재가 있는 합성보 ② 매입형 합성부재 ③ 충전형 합성부재 (1) 유효폭 콘크리트 슬래브의 유효폭은 보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각 방향에 대한 유효폭의 합으로 구하며 유효폭은 다음 중에서 최솟값으로 구한다. ① 보 경간(지지점의 중심간)의 1/8 = 보 경간(지지점의 중심간)의 1/8 좌 + 보 경간(지지점의 중심간)의 1/8 우 ② 보 중심선에서 인접보 중심선까지 거리의 1/2 = 보 중심선에서 인접보 중심선까지 거리의 1/2 좌 + 보 중심선에서 인접보 중심선까지 거리의 1/2 우 ③ 보 중심선에서 슬래브 가장자리까지.. 거푸집 및 동바리의 설계하중 ☞ KDS 21 50 00 :2018 거푸집 및 동바리 설계기준 ■ 설계하중 1. 연직하중 = 고정하중 + 작업하중 + 적설하중 ≥ 최소 5.0 kN/㎡ 이상 ① 고정하중 = 콘크리트 무게 + 거푸집 무게 ② 작업하중 = 작업원 + 장비하중 + 시공하중 + 충격하중 2. 콘크리트 측압 3. 풍하중 4. 수평하중 ① 고정하중의 2%와 → 고정하중 = 콘크리트 자중 + 거푸집 무게 = 3.60 + 0.40 = 4.0의 2% = 0.08kN/㎡ → 작업하중은 계산에 포함하지 않음 ② 수평길이 당 1.5kN/m 이상 중에서 큰 값의 하중이 최상단에 작용 ③ 풍하중과 비교하여 큰 값 적용 5. 특수하중 --------------------------------------------------------------.. 말뚝기초 기능별 분류 (PRD/RCD/BARRETTE) ■ 말뚝기초 기능별 분류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