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2)
기사 - CIP 주열벽ㆍ지하외벽 연결 (영구 구조물화) ■ CIP 역할① 토공사 -  가설구조물로 사용② 골조공사 완료 후 - 영구구조물로 사용 ■ 지하외벽의 물량 절감 (영구구조물)① 골조 지하외벽과 전단연결재로 연결하여 서로 거동할 수 있도록 시공    (H-PILE에 전단연결재를 위한 너트 사전에 용접시공?)② 지하외벽의 토압을 CIP가 부담하도록 설계하므로 지하외벽의 골조물량 저감 ③ 지하내진설계시 CIP를 활용하여 지하외벽 단면절감     (ACT PILE, 차수CIP 등에 대한 적용가능?) ④ 지하외벽 높이가 CIP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⑤ 지하외벽 높이가 부대토목을 위한 CIP 상부철거 등에 대한 계획 필요⑥ 따라서 상부 2m는 설계에서 제외 등   [주목! 신기술] CIP 주열벽ㆍ지하외벽 연결 ‘영구 구조물화’ - 대한경제 [주목! 신기술] CI..
기사 - 북항 재개발 1단계 ■부산 랜드마크 타워① 3개 타워의 연결 ② 3개의 기둥을 브릿지(?)로 연결하여 타워의 안정성 확보    장기 표류하던 북항 재개발 1단계 마침내 ‘화룡점정’? - 부산일보 장기 표류하던 북항 재개발 1단계 마침내 ‘화룡점정’?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지 내 랜드마크 부지에 88층 3개동 규모로 건립이 추진되는 ‘부산 랜드마크타워’ 조감도. 부산시 제공 부산...www.busan.com
철근배근 - 철근의 피복두께 ■ 정의① 외측철근의 가장 바깥면에서 콘크리트의 표면까지의 최단거리 ② 주철근 외측면에서부터 콘크리트 외부면까지의 거리가 아님③ 주철근을 감싸는 스터럽, 띠철근, 후프철근의 외측면에서 콘크리트 외부면까지의 짧은 거리        ■ 목적 내화성철근의 고온노출방지내구성철근의 부식방지구조철근의 부착응력 확보시공콘크리트 유동성 확보
바닥판 구조를 통한 기둥하중의 전달-분리타설 또는 다우얼철근 배근시 ■ KDS 14 20 20 :2018 콘크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 4.6 슬래브 구조를 지지하는 압축부재 4.6.1 슬래브를 지지하는 압축부재 KDS 14 20 70 (1.1)의 규정에 따르는 슬래브 구조를 지지하는 모든 축력을 받는 부재는 이 기준의 규정과 KDS 14 20 70의 요구 사항에 맞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4.6.2 바닥판 구조를 통한 기둥하중의 전달 (1) 기둥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바닥판 구조에 사용된 콘크리트 강도의 1.4배를 초과하는 경우, 바닥판 구조를 통한 하중의 전달은 다음의 (2)에서 (4)까지 방법 중 한 가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1.4배 이하인 경우는 특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다. ▷ 기둥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바닥판 구조에 사용된 콘크..
슬래브(SLAB)의 다이아프램(DIAPHRAGM) 기능/역할 ■ 다이어프램(DIAPHRAGM) 정의 ① DIAPHRAGM = 횡경막 ② 횡격막은 가슴과 배를 나누는 가로무늬근육으로 위/아래로 움직이는 근육질 막의 수축/이완으로 호흡운동에 관여 ③ 슬래브는 지진 발생시, 짦은 시간동안에 중력하중 뿐만 아니라, 수평력에도 저항하도록 요구되며 이는 횡경막처럼 상하좌우의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로 인해 붙여진 명칭으로 추정 (개인의견) ☞ 출처 :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69&partId=B000020 ■ 하중방향에 따른 슬래브(Slab) 기능 ① 면외방향(중력방향) - 슬래브가 받는 바닥하중을 슬래브의 휨강성으로 보, 벽체, 기둥, 기초 등 다른 구조부재에 전달 ②..
건축구조기술사 114회 4교시 3번 ■역학-라멘-직렬병렬 -강성/힘 분배
건축구조기술사 115회 4교시 5번 ■내진-수평전단력-격막-격막종류에 따른 층전단력 분배
도배 1. 정배지 종류 ① 합지 (종이벽지) - 180g/m2 이상 - 2 장의 종이를 접착하여 코팅 처리한 정배지 - 초배지 없이 바탕면에 정배지 전체면을 붙여 시공하는 벽지 ② 실크지 - 250g/m2 이상 - 종이 위에 비닐을 접착한 정배지 - 테두리면만 접착하고 나머지는 떠있는 초배지 위에 정배지 전체면을 붙여 시공하는 벽지 - 최근 신축 세대는 거의 실크 벽지이며 육안으로 구별 가능 ☞ 실크지 사용이유 - 바탕면과 도배지 사이 공간을 두어 바탕면 요철 등에 의한 평활도 확보하여 미관 향상 - 바탕면과 도배지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여 일부 단열효과 기능 - 계절에 따라 수축, 팽창하므로 습도조절 기능이 있음 - 추후 제거가 용이함 2. 구분 방법 ① 합지 도배 : 도배지를 겹쳐서 시공 / 손으로 만져보..